“전공개방 모집에선
학과 폐지, 교원 이동 없다”
“안성캠의 발전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산학협력으로”
-지난 한 해를 어떻게 평가하나.
“총장으로서 대학본부에 대한 구성원들의 불신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지 가장 깊이 고민했고, 행정제재로부터 대학을 보호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였습니다. 결과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었던 것은 인정합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큰 변화의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고 나름대로 그 성과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중앙대는 QS 세계대학평가와 중앙일보 대학평가 등에서 약진하며 저력을 보여주었습니다. 구성원 모두가 각자의 위치에서 노력해온 덕분입니다.”
-대학본부를 향한 불신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파악하나.
“구성원 간 견해차로 인한 지체현상과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구조적으로, 대학본부의 경영철학이 각 행정실까지 도달하지 않아서 어긋난 지점이 생겼다고 파악됩니다.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행정의 대부분은 대학본부 뿐만 아니라 학문단위 행정실에서 보다 광범위하게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간혹 행정실에서 학생들의 요구사항이 원활히 해결되지 않아서 행정에 대한 불신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불신에 대한 문제는 제가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취임 당시 공약으로 내세웠던 ‘중앙공감프로젝트’와 ‘스마트행정시스템’을 통해 보여주기식 행정이 아니라 피부로 와 닿는 변화를 추구했습니다. 먼저 대학본부가 아닌 단대에서 연구년 추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게끔 연구년 선정 절차를 개정했습니다. 그리고 막연하기만 했던 정년보장심사 제도의 기준을 오픈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실적, 사회봉사업적, Peer Review(동료평가제) 등 구체적 기준이 100% 공개됐습니다. 구성원에게 필요한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면서 이제 상당 부분 예측 가능한 대학 생활이 실현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100주년을 앞두고 중앙대의 큰 그림을 그려야 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동의합니다. 이에 대학본부는 지난해 설문조사를 통해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New Vision’에 대한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했습니다만,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아직 부실합니다. 중앙대의 위상에 걸맞은 비전이 제시되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방향성을 다잡고 교육과정을 재정비하기 위한 ‘New Vision’은 대학본부의 비전만이 아니라 전체 구성원의 비전이 돼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단 수렴된 의견에 대해 자세히 들어볼 수 있나.
“구성원의 절반 정도가 중앙대에 대한 자부심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중앙대만의 고유한 특징 및 구성원의 동기부여 여부는 아쉽다는 점이 확인됐습니다. ‘CAU2018+’는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재 중앙대의 모습은 CAU2018+의 목표와 괴리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또한 학생·교수·교직원이 지향하는 미래가치가 주체별로 상이했습니다. 지금은 이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 잠정 중단된 광역화 모집에 대한 고민도 시급할 것 같다.
“2018학년도부터 시행되는 광역화 모집은 ‘전공개방 모집제도’로 바뀝니다. 그동안 학생들이 ‘사회 수요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명목하에 학과가 폐지되지는 않을지 걱정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분명히 말하지만 전공개방 모집제도로 인한 학과 폐지는 없습니다. 또한 이에 따른 교원의 학문단위 이동도 없을 것입니다.”
-전공개방 모집제도에 대해 설명을 부탁한다.
“전공개방 모집제도를 도입하는 이유는 학생들의 졸업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무엇보다도 교육시스템을 어떻게 만들어나갈지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아직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진 단계는 아닙니다. 모집방법의 경우 단대 특성에 맞게 모집방법을 다양화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안이겠지만 교육시스템의 틀이 나온 다음에야 모집방법을 논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언제쯤 구성원들에게 발표할 수 있나.
“적어도 4월엔 결정돼야 2018학년도 신입생을 원활히 모집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빨리 결정하도록 논의를 진행 중이며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공개 후엔 학생·교수·교직원 등 구성원들과 토론해보고 싶습니다.”
-취임 당시 핵심공약으로 제시한 ‘인문학 교육 강화’의 경과는 어떤가.
“‘대학 인문역량 강화(CORE) 사업’ 진출을 시도했으나 필요 역량이 부족했고 포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미안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인문학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선 절대 공감하고 있고, 인문대학이 중앙인 전체를 위한 인문학 교육을 책임진다면 이 문제는 해결될 것이라 봅니다. 이에 인문대 교수님들께 중앙대 전체의 인문학 교육을 맡아 달라고 제안한 상태입니다. 인문대가 이를 수용하여 새로운 발전양상을 구상할 수 있게 된다면 상당수 교원을 충원하는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안성캠 르네상스’를 이야기하기도 했다. 안성캠 발전계획은 어떻게 되고 있나.
“안성캠은 중앙대 ‘New Vision’의 매우 중요한 축입니다. 안성캠의 발전 없이는 중앙대 전체의 발전을 더 이상 도모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실 안성캠의 현실적 여건을 고려했을 때 르네상스를 실현하기는 무리였습니다. 당장은 안성캠 활성화가 시급합니다.”
-안성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먼저 BT (Bio Technology)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생공대를 중심으로 시설을 개편했습니다. 행정처분의 결과로 이전된 190명의 생공대 대학원생 등록금 전액은 생공대 발전기금으로 사용됩니다. 발전기금은 장학금, 기계매입 등 생공대 발전을 위해 100% 사용될 것입니다. 또한 안성캠의 넓은 부지를 활용하기 위해 산학협력 기업 및 기관 유치에 힘쓰고 있습니다. 현재는 경기벤처센터와 논의를 진행 중이며 계속하여 산학협력 기업 및 기관 유치를 확대할 방침입니다.”
-예술대와 체육대의 발전 방안은.
“예술대는 전면적인 재구조화가 필요합니다. 어떤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할 것인지 조정하기도 전에 재정을 투입하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다름없습니다. 이에 방재석 안성부총장 겸 안성캠퍼스발전기획단장(문예창작전공 교수)과 곽대영 예술대학장(산업디자인전공 교수)이 ‘예술대학 발전방안’을 마련 중입니다. 교원 충원, 시설 현대화 등은 그다음 순서입니다. 체육대의 경우엔 지금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므로 교원만 충원된다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예술대학 발전방안의 주요 골자는 무엇인가.
“예술대에 ‘글로벌융합예술학부’를 신설해 2018학년도부터 정원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신입생을 모집할 계획입니다. 글로벌융합예술학부는 방송 연예, 실용음악, 게임콘텐츠 분야를 다루며 3개 전공으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이제 예술대 교수들과 논의를 진행해 구체화해나갈 단계입니다. 글로벌융합예술학부가 신설된다면 안성캠을 글로벌캠퍼스화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단일교지 문제는 어떻게 해결됐나.
“정말 다행인 것은 단일교지가 취소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대학본부와 총장단이 단일교지를 지켜내기 위해서 상당히 노력했고 여기에 대해선 긍정적인 평가를 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렇지만 애석하게도 서울캠 학부정원 일부가 안성캠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행정처분을 받았습니다. 이에 대한 법적 대응 여부는 현재 검토 중이며 중앙대의 실익과 중·장기 계획을 고려해 결정할 생각입니다. 현재의 처분 결과가 변동이 없더라도 특정 전공단위가 안성캠퍼스로 옮기는 일은 없을 겁니다.”
-재정지원사업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어떻게 해결해나갈 것인가.
“현재 중앙대는 페널티를 안고 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올해 진행하는 ‘산학협력 고도화 지원사업(LINC+ 사업)’을 비롯해 추가로 교육부 재정지원사업을 수주하는 것은 사실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학본부는 미래부 주관 사업에 뛰어들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에서 27억을 수주하는 등 타 부처 사업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발전기금을 모금하고 법인전입금을 확충하는 등의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다행스럽게도 2018년부터는 재정지원사업에 대한 페널티가 없어져 제대로 경쟁할 수 있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중앙대 구성원들에게 한마디 한다면.
“중앙대를 둘러싼 외적 환경변화가 심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압니다. 그리고 대학본부도 더 나은 중앙대를 만들기 위해 노심초사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구성원 서로의 생각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성숙한 문화가 형성됐으면 좋겠습니다. 학생·교수·직원·본부가 힘을 합쳐서 함께 중앙대를 위해 토론할 수 있게 된다면 경쟁력 있는 중앙대, 자랑스러운 중앙대에 한 발짝 가까워질 것이라 믿습니다.”
- 김창수 총장00.jpg (File Size:54.4KB/Download:75)
- 김창수 총장.jpg (File Size:30.0KB/Download: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