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 기업, 국제 공신력 회복 위해 다시 뛰어야
방희석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석좌교수
세계 어디를 가나 한진해운 컨테이너가 보여 마음에 품었던 자부심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한진해운 사태로 우리 해운 산업의 공신력은 땅에 떨어졌다. 그러나 해운 산업의 글로벌화는 다시 시작해야 한다. 해운은 국가의 부를 축적하고 영토를 확장시키는 수단이다.
한진해운 사태 이후 운임이 급등한다고 하지만 만성적인 과잉 공급 상태인 국제 운임 시장, 선박 대형화, 신조선(新造船) 추이를 볼 때 단기적인 현상일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수출입 무역량 증가 폭이 둔화하고, 원거리 무역이 줄어드는 추세인 것도 원양 해운 시장에 부정적인 요소다.
이런 상황에서 해운 기업이 글로벌 공신력을 회복하려면 자구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운항 원가를 낮추고 물류 네트워크 경쟁성을 확보한 해운 기업만 최후 승자가 될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얼마 전 선박을 시장에서 인수해 재용선하고 금융·세제 지원으로 초대형·고효율 선박 건조 지원하는 등등 다섯 가지 정책을 발표했다. 방향 설정은 적절한 것 같다. 하지만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보완이 필요하다. 우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글로벌 물류 시장을 평가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이번에 정부 정책이 우왕좌왕한 것도 이 같은 평가·예측 시스템이 부실한 탓이 컸다.
해운업은 금융·조선 등과 긴밀한 연계를 통해 성장하는 산업이다. 그런데 해운 산업과 조선 산업이 따로 가면서 이번 사태가 발생했다.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업무 협조를 효율적으로 하려면 총리실 직속으로 전문성을 가진 위원회를 둘 필요가 있다. 이 위원회가 해운과 조선 관련 정책을 선도해야 한다.
해운 기업들은 국가 지원에는 언제나 한계가 있기 마련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글로벌 전문성을 갖추고 시장 추이를 장단기적으로 잘 읽고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보해야 한다.
해운 시장은 앞으로 2∼3년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달리 말하면 2~3년 후엔 터널을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준비하지 못하면 그 기회도 잡을 수 없을 것이 분명하다. 다행히 한국 해운은 저력이 있다. 지금 시련을 교훈 삼아 정책과 기업 역량을 결합시키면 부활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01/2017010101379.html
- 방희석 동문0.jpg (File Size:10.9KB/Download:72)
- 방희석 동문.jpg (File Size:21.0KB/Download: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