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일 안중근의사기념관장 인터뷰
“민족주의 넘어 동양평화 제창… 시대를 앞서 간 사상가”
-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사상의 핵심은 한반도 평화 없이 동북아 평화 없고, 동북아 평화 없이 한반도 평화건설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한 세기를 앞서간 그의 사상은 지금도 여전히 우리 후손들에게 많은 생각할 거리를 안겨준다.”
안 의사의 중국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맞아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남산 안중근의사기념관에서 만난 김호일 기념관장은 “지난 한 세기 동안 우리 후손들이 안 의사의 뜻과 바람을 충실히 구현해 왔는지 생각해 보면 송구할 뿐”이라며 “100주년을 계기로 안 의사에 대한 연구와 조명 작업이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올해는 안 의사가 1909년 10월26일 중국 하얼빈에서 의거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다.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는.
“흔히 한 세대라고 말하는 30년을 세 번 지나고도 10년이 더 흘렀다. 안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척결해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세계에 알림으로써 후손들이 독립을 이루고 국가를 세워 번영을 누리는 자양분이 됐다. 안 의사의 의거는 국론 분열을 극복하고 남북통일을 이뤄야 하는 우리에게 아직도 많은 가르침을 주고 있다.”
―안 의사의 사상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말해 달라.
―동북아 주요 3국 간 공동번영을 위한 상설기구를 고안했다는 말은 현재에도 상당한 의미를 갖는 것 같다.
“안 의사의 사상과 경륜, 통찰이 어우러져 나온 것이라고 본다. EU가 창설될 때 독일과 프랑스가 주도했지만 본부는 벨기에 브뤼셀에 뒀다. 안 의사는 진정한 대한제국 독립은 일본 제국주의로부터의 독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런 바탕 위에 동북아 국가들과 동등하게 평화를 모색할 수 있다고 봤다. 또 이를 위해 3국의 중간 지점인 중국 다롄에 3국 간 회의기구를 설치해 동북아 공동보조를 취하자고 제안했다.”
―안 의사의 동양평화사상을 좀 더 쉽게 설명한다면.
“안 의사는 다롄에 3국 회의기구를 설치하고 각 국가가 회비를 갹출해 운영하는 게 옳다고 봤다. 3국 간 자격은 물론 동등해야 했다.일본은 국익을 위해 대동합방론, 아세아연대론, 흥아론(興亞論) 등을 내세우던 시기였다. 안 의사는 이런 자국, 자민족 이기주의를 넘어 인류 공영과 자유, 평등 정신에 입각한 사상을 구현하려고 한 것이다.”
―안 의사의 고향은 황해도이고 활동무대는 중국이다 보니 사료나 유품 수집이 힘들다고 한다.
“부끄러운 일이다. 안 의사가 일제 헌병에 체포당한 후 재판받은 모든 기록, 인간관계 등 각종 자료를 모두 수집하고 발굴했다고 자신할 수 없다. 모두 현재진행형이다. 현재 안 의사를 숭모하기 위한 많은 단체가 있어 안 의사에 대한 논문과 연구자료 등을 모으기 위한 작업이 추진 중이니 성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최근 일본 내에서도 안 의사를 재조명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들었다.
“지난해 12월 일본 용곡대학의 한 법학교수가 찾아왔다. 1905년에 체결된 ‘을사조약’에 고종의 서명이 빠져 무효라는 주장했던 국사학계의 거목 이태진 전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의 견해를 같이한다며 각종 자료를 부탁했다. 지난해 9월에는 일본법정대학을 나온 한 변호사가 찾아왔다. 칸트의 세계평화론과 안 의사의 동양평화사상을 접목시키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들었다. 이 외에도 안 의사 순국일마다 방한하는 사이토 다이겐 일본 대림사 주지 등도 모두 안 의사를 숭모하는 일본 내 인사들이다.”
―기념관을 찾는 일본인 관람객 수도 늘었다고 하는데.
“외국인 관람객 중에는 가장 많다. 학생이 대부분인 내국인 관람객에 비해 일본인 관람객은 연령층이 다양하다. 호기심 어린 눈으로 찾아와 감동받고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안 의사는 일제가 그를 재판할 때 ‘사형보다 더 무거운 형벌이 없나. 그걸로 나를 처벌하려면 하라’고 요구했다. 안 의사는 일본의 사법권을 인정하지 않았고, 차라리 국제법에 따라 재판받기를 원했던 것이다. 그런 안 의사의 풍모를 접한 일본인들은 안 의사에 대한 선입견을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얻고 돌아가는 것 같다.”
―세계일보는 여순순국선열기념재단을 통해 안 의사의 역사적 유물과 사적복원, 기념물 건립·지원 업무를 해왔다. 격려와 충고의 말씀을 부탁한다.
“중국에서 안 의사와 관련된 사업을 추진하는 게 쉽지 않은데 잘 해 왔다. 중국 다롄은 안 의사뿐만 아니라 많은 선조와 중국인들의 항일투쟁 근거지였다. 이 지역의 항일운동을 여순재단이 집중 조명하고 각종 사업을 추진하면 우리 후손과 중국인들에게 많은 교훈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김재홍 기자 hong@segye.com
약력
▲1939년 서울 출생 ▲1962년 중앙대 사학과 졸 ▲1988년 단국대 문학박사 ▲1967∼76년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1980∼2005년 중앙대 사학과 교수 ▲1980∼ 국사편찬위원장 ▲2001∼02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장 ▲2001∼07년 국학학술원장 ▲2008.2.11∼ 안중근의사기념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