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래(경제78) 칼럼] 사회변혁 열기가 종교개혁 불렀다

“개혁의 기운은 이미 무르익어… 교회와 사회 두 영역에서 함께 진행돼야”

 

국민일보
입력 : 2016-10-23
 

 

[조용래 칼럼] 사회변혁 열기가 종교개혁 불렀다 기사의 사진
“독일 농민은 뿔 없는 암소, 씨를 뿌려도 수확물은 사제들의 몫일 뿐.” 16세기 독일 농민들은 자신들의 처지를 ‘로마의 암소’ 같은 존재로 비하하면서 아픔을 노래했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통일국가를 이뤄 자국 내 교회령에 대한 교황청의 정치·재정적 압박에 대항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독일은 300여개의 영방(領邦)으로 쪼개져 있었기에 로마의 압력에 취약했고, 교황은 이전보다 더 집요하게 독일 농민을 수탈 대상으로 삼았다. 
 
교황 레오 10세는 교회령에 대한 수탈을 강화하는 한편 더 많은 돈을 긁어모으기 위해 면죄부를 팔았다. 종교개혁의 직접적인 배경이다. 사실 중세 가톨릭의 부패를 비판하고 개혁을 요구한 움직임은 이전에도 있었다. 전(前)종교개혁으로 불리는 14세기 영국의 존 위클리프, 15세기 체코의 얀 후스 등도 ‘오직 성경으로’를 앞세운 마르틴 루터의 주장과 비슷했지만 시대적 변화기운은 아직 무르익지 않았다.  

수탈에 반발하는 민중들, 교황과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결탁에 반발하는 독일 영방영주들, 드디어 현실은 변혁의 열기로 충만했다. 그때 가톨릭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이 나왔다. 그 주장이 변혁의 논거가 되면서 혁명적 기세가 전 유럽을 휩쓸었다.  

루터의 주장은 흔히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로 요약된다. 그것은 성(聖)과 속(俗)의 반전을 뜻한다. 성직자와 수도원에만 맡겨두는 가톨릭의 격리된 거룩 추구를 넘어서 생활 속에서 일상적으로 거룩을 실행하라는 주장이다. 교회 안에서만이 아니라 교회 안팎에서 언제나 일상의 성화(聖化)를 이루자는 얘기다.

독일 작센지방의 향토사학자 칼하인츠 브라슈케는 종교개혁 450주년을 기념해 내놓은 저서 ‘루터시대의 작센-종교개혁의 사회·경제·문화사’(1970) 서문에서 종종 일반인들이 종교개혁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단지 일회적인 사건으로 보거나,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변혁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그는 종교개혁이 교회 내부의 문제로써만 시작된 것이 아니며, 그럼에도 그것이 교회를 끊임없이 개혁해가는 시작점이 됐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실 종교개혁이 성과를 낼 때까지는 무수한 시행착오가 있었다. 예컨대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이 공존하게 된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조약도 어디까지나 영주들의 종교적 자유를 허락한 것에 불과했다. 일반 민중들은 지배 영주에 종속된 존재에 불과했다. 당초 독일 농민들이 바랐던 개개인의 권리가 관철될 때까지는 훨씬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했다. 그럼에도 종교개혁을 중시하는 것은 개혁의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한국 교회도 매년 10월 31일을 종교개혁 기념일로 지킨다. 개혁의 의미가 해마다 달라질 리는 없지만 올해는 조금 각별하다.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한 해 앞두고 그날 국민일보와 CBS는 각 교단들과 더불어 대대적인 개혁 캠페인을 시작한다. 슬로건도 ‘나부터 ∼’로 정했다.  

중요한 것은 개혁의 실행이지만 ‘나부터∼’는 좀 아쉽다. 정확하게는 ‘성직자부터∼’ 혹은 교회의 주요 직책을 맡은 목사 장로 권사를 포함한 ‘중직자부터∼’로 했으면 더 좋았겠다. 종교개혁의 배경은 교회와 성직자들의 일탈 때문이었지 민중 탓이 아니지 않았나. 

분명 개혁의 기운은 무르익었다. 얼마 전 한 공직자가 ‘민중은 개·돼지와 같다’고 지적할 정도이고 보면 한국에서도 ‘로마의 암소’가 남의 이야기가 아닌 듯싶다. 게다가 일부 성직자들을 포함한 사회의 상층 엘리트층의 끝없는 일탈은 이미 극에 이를 정도가 아닌가. 개혁의 열기는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개혁은 교회와 사회 두 영역에서 함께 진행돼야 한다. 

조용래(경제78) 편집인 jubilee@kmib.co.kr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27 조용래의 시사칼럼 ‘국민총참회’ 요구 같아 마뜩잖았으나 국중현 16.08.03. 240
26 조용래의 시사칼럼 [조용래(경제78) 칼럼] 미운 6월에 현충일을 맞다 국중현 16.06.07. 236
25 조용래의 시사칼럼 제4차 산업혁명, 도약의 길 국중현 16.09.25. 234
24 조용래의 시사칼럼 동남권신공항 요물단지 뚜껑 열린다 국중현 16.06.20. 232
23 조용래의 시사칼럼 1916년 선현들은 광복을 내다봤을까 국중현 16.08.17. 209
22 조용래의 시사칼럼 혼돈의 브렉시트, 희망의 ‘불의 전차’ 국중현 16.07.04. 201
21 조용래의 시사칼럼 歸省, 다시 시작하기 위해 돌아가는 것 국중현 16.09.12. 197
20 조용래의 시사칼럼 박근혜 대통령의 ‘파혼’을 요구하며 국중현 16.11.06. 197
19 조용래의 시사칼럼 [조용래(경제78) 칼럼] 히로시마 방문, 개인기로 할 셈인가 국중현 16.05.22. 196
18 조용래의 시사칼럼 愛民과 이웃사랑이 열정 낳았건만 국중현 16.10.09. 183
17 조용래의 시사칼럼 [조용래(경제78) 칼럼] ‘3金·2朴 시대’ 너머로 가는 길 국중현 16.04.24. 182
16 조용래의 시사칼럼 당신의 기억은 안녕하십니까 국중현 16.03.13. 180
15 조용래의 시사칼럼 사드 배치 결정보다 더 중요한 것 국중현 16.07.18. 179
14 조용래의 시사칼럼 [조용래(경제78) 칼럼] 노무현정부 시즌2는 아닐 테지만 국중현 17.06.19. 174
13 조용래의 시사칼럼 나는 민주 대한민국의 국민이고 싶다 국중현 16.08.29. 173
12 조용래의 시사칼럼 [조용래(경제78) 칼럼] 한·일 협력의 길, 미래에서 찾아야 국중현 17.12.04. 168
11 조용래의 시사칼럼 소명감 없는 후보가 역사 그르친다 file 국중현 16.04.10. 164
10 조용래의 시사칼럼 [조용래(경제78) 칼럼] 재협상하자는 美, 재합의 없다는 日 국중현 17.07.16. 162
» 조용래의 시사칼럼 사회변혁 열기가 종교개혁 불렀다 국중현 16.10.24. 161
8 조용래의 시사칼럼 한반도에 평화를 선포하라, 바로 지금 file 국중현 16.03.10.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