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의 미래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지난해 작고한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부의 물결은 기르고 키우는 'Growing'에서 만드는 'Making'으로, 그리고 앞으로는 'Thinking'으로 발전한다"고 했다. 다시 말해 생각의 물결을 혁명의 물결과 부의 물결로 본 셈이다. 대학의 미래 비전에 대한 구상을 듣고자 만난 김창수 중앙대 총장은 앨빈 토플러의 생각에 격하게 공감했다. 김 총장은 "과거 Teaching에 머물러 있던 교육의 패러다임이 이제는 Thinking으로 바뀌어야 한다"며 "교육의 틀을 대대적으로 전환해야 생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학령인구 감소, 고질적인 재정난, 인재 유출, 중화권 대학의 약진 등 국내 대학들이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김 총장의 생각을 들어봤다. 다음은 일문일답. ―국내 대학의 현주소는. 

▷현재 우리나라 대학은 폐교, 재정지원제한 대학, 더 나아가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대학도 수없이 나오는 등 위기를 맞고 있다. 수도권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대학원의 경우 정원을 못 채우는 대학이 많다. 특수대학원은 물론이고 심지어 전문대학원이나 일반대학원도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대학의 줄도산이 교육 문제를 넘어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제가 될 것이다. 서남대학교 폐교에서 보듯이 대학이 무너지면 지역도 무너지기 때문이다. ―위기의 원인은 무엇인가. 

▷원인은 다양하다. 인구통계 면에서 급격한 저출산, 대학교육의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해지며 초래된 대학의 방만 경영, 대학 설립준칙주의 적용에 따른 대학의 급팽창, 대학교육의 내실화 부족, 정원 일변도의 고등교육 정책 시행, 정부의 대학재정지원 부족 등으로 다양하다. 또 대학과 지역 간 긴밀한 연계 및 상생 노력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구조적으로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래서 해법도 난해하다. ―교육 차원에서 필요한 혁신은. 

▷교육의 핵심은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생각의 힘을 키우는 데 있다. 생각하는 힘, 상상과 논리와 이론에 기초한 교육 본연의 모습인 전인교육에 충실해야만 4차, 5차 혁명시대에 경쟁력 있는 인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대학교육의 틀이 Teaching 중심에서 Learning과 Thinking 등 학습자 중심으로 신속히 변화해야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또 교육의 3대 요소인 교수, 학생, 대학운영 시스템이 선진화돼야 한다.―모범적인 사례가 있다면. 

▷싱가포르 NUS(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의 사례를 보자. 20년 전 교육비전이 인상적이다. 1997년에 '생각하는 학교, 공부하는 국가(Thinking schools, Learning nation)'라는 교육비전을 내걸고 학업성적보다는 문제해결 능력과 사고력, 창의력 배양에 집중하는 교육을 추진해왔다. 

2005년에는 '적게 가르치고 더 많이 배우자(Teach less, Learn more)'는 슬로건을 내건 이후 학생들을 간단한 시험으로 평가하기보다는 긴 안목으로 인생을 준비시키는 창의적 인재양성 프로그램에 몰입했다. 교수의 시대에서 학습의 시대로 전환이 이뤄졌다. 또 2016년 싱가포르 교육당국은 '기술이 미래다'라는 스킬스퓨처(SkillsFuture)를 통해 평생교육 강화에 나섰다. 

지난 20년간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를 아시아의 교육 허브로 만들려는 '글로벌 스쿨하우스(Global Schoolhouse)' 정책을 펼쳐왔다. 싱가포르를 글로벌 기업의 본산으로 만들려니 글로벌 스쿨하우스가 필요했다. 대학정책이 경제정책의 표현이었다. 고등교육정책의 수립과 실행 과정에서 교육부뿐만 아니라 통상산업부(MTI·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와 산하 경제기획원(EDB), 인력부(MOM·Ministry of Manpower) 등의 공조가 두드러진 점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싱가포르를 예로 들면 고등교육정책이 교육부와 경제기획원에 의해 추진됐고, 이들 대학에 막대한 재정이 지원됐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도 더 잘할 수 있다고 본다. 지금보다 더 글로벌한 대학이 나올 수 있다. ―중앙대의 혁신 노력은. 

▷중앙대학교는 오랫동안 대학가에서 혁신의 아이콘이었다. 업적평가시스템 도입, 업적에 기초한 연봉제 도입, 성적 상대평가, 유사중복학문단위 통폐합 등 다양한 개혁을 시도했다. 비효율을 줄이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이는 정부의 정책에 기초한 것이 아닌 비효율을 줄이기 위한 자구적인 노력이었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다. ―미래 대학의 모습을 전망해 본다면. 

▷이미 OECD는 2000년대 초에 전통적 대학체제 외에 인터넷 대학, 프랜차이즈 대학, 기업대학과 같은 대안적 고등교육체제가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우리나라 대학의 운명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대학은 평생교육 형태를 취하면서 단일기관에서 학위를 주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관이 연합해 학위를 주는 복잡한 형태가 될 것이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독학사제, 학점은행제, 사내대학, 원격대학 등 다양한 형태의 대안적 고등교육체제가 들어와 있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대학이 아직은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 

대학이 진정으로 걱정해야 하는 것은 산업계에서 적용되는 인공지능이 교육기관에 영향을 미쳐 공유경제의 개념을 응용한 거대한 공유대학(가칭 유니콘 대학)이 등장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를 위해 우리 대학도 다른 대학과 교육프로그램을 공유하는 등 미래 대학 혹은 유니콘 대학 등장에 대비한 교육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다.


급변하는 교육환경 속에 대학도 교육 및 연구기능 외에 행정적인 측면에서 정말 할 일이 많아졌다. 이런 측면에서 미래 대학 모델은 '콘텐츠―비즈니스(Contents―Business) 모델'로 바뀌어 갈 것으로 전망한다.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새로운 환경을 주도해 나가는 대학이 미래 대학이 될 것으로 본다. 또 21세기의 대학모델은 학사학위를 수여하는 졸업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평생학습을 책임지는 평생 엔진, 학생을 학교로 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있는 곳으로 다가서는 대학의 모습일 것이다.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502 [음악]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페라 갈라와 영화속의 클래식음악 OST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5.16. 2562
501 김판석(행정82) 능한 7·9급 공무원, 국장될수 있게…승진기회 확 넓힌다 총동문회 18.11.28. 987
500 작곡가 사브리나(작곡79)가 읽어주는 오페라 이야기 1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3.25. 852
499 [조용래 칼럼] ‘오래된 미래’ 3·1운동 100주년을 맞다 총동문회 19.02.25. 847
498 조용래(경제78) 부끄러움의 건너편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4.11. 807
497 어떻게 만들어온 원자력인데... 예서 그르칠 수는 없다! 너희들이 누구길래 ‘원자력없는 대한민국’으로 만들려 하는가 총동문회 18.08.02. 781
496 박시호의 행복편지 며느리에게보내는글(박시호의 행복편지) file 국중현 17.10.13. 779
495 중앙대병원 신경과 윤영철(의학93졸) 교수의 ‘암보다 무서운 치매’ 총동창회 18.03.26. 776
494 [조용래 칼럼] 2차 북·미 정상회담 외엔 길이 없으니 총동문회 19.02.12. 728
493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티폰과 태풍 : 타이푼 등 총동문회 18.07.17. 698
492 우리 아이 자해(自害)하는지 확인하자 [출처] (교육칼럼) 우리 아이 자해(自害)하는지 확인하자 / 류시호 작가 | 총동문회 18.11.28. 672
491 전기위원회, 어디로 가야 하나 file 총동문회 18.07.10. 651
490 [조용래 칼럼] 한국 사람은 무엇으로 사나 총동문회 18.08.02. 648
489 [조용래 칼럼] 통일, 준비는 하되 입 밖엔 내지 말고 총동문회 18.08.13. 630
488 [조용래 칼럼] 한반도 대전환의 불씨 키워가려면 총동문회 18.09.10. 587
487 [조용래 칼럼] 한·일 불신 자초했거나 조장했거나 총동문회 19.02.01. 557
486 [조용래 칼럼] 대법 징용배상 판결 후 文정부의 전략은 총동문회 18.11.05. 551
485 [조용래 칼럼] 끝은 다시 시작으로 이어질 테니 총동문회 19.01.02. 548
484 [조용래 칼럼]日 배상책임 적시 못한 ‘한·일 청구권협정’ 한계성 지적 총동문회 18.11.22. 541
483 박기철 (광고홍보 79)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 영웅과 위인 : 영웅전이란 허구 총동문회 18.07.03. 491